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의 주체

by 지식오아시스 2018. 6. 18.
반응형
사회복지의 주체

 

공공과 민간 사회복지비교

 구 분

 공공 사회복지

 민간 사회복지

 사명감

 약함

 왕성함

 자주성

 약함(법,제도 제약)

 강함

 운영

 상부지시 좌우

 경영자의 자의적 운영

 외부 간섭

 정치적 개입

 관공서의 통제적 개입

 재정

 안정적임

 비교적 불안정

 설비

 비교적 우수

 시설간 차이가 심함

 

 구 분

 공공 사회복지

 민간 사회복지

 욕구대처

 소극적

 적극적

 서비스 일관성

불충분(인사이동)

 우수함

 창의적 노력

 불충분

 적극적

 지역사회 연계

 소극적

 적극적

 홍보활동

 소극적

 적극적

 근무조건

 비교적 좋음

 상대적으로 열악함

 

사회복지서비스 공공주체(비공식부문)

▶ 비공식 부문(INFOMAL SECTOR]
    - 가족중심의 1차 집단(친구, 이웃, 근린집단, 지역사회]
    - 친밀성으로 역할강조 되지만 국가책임 축소우려의 단점 있음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주체(공공부문)

▶ 공공 부문[PUBLIC SECTOR]
    -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를 의미함
    - 급속한 사회변동으로 공공 부문이 확대됨
    - 국가는 국민의 최저생활보장하고 지방자치단체는 인간다운 삶을 유지할 수 있는 프로그램 실시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주체(민간비영리부문)


▶ 민간비영리 부문[VOLUNTARY SECTOR]
    - 사람의 자발성에 기초한 공급
    - 복지국가 체제 이전에 활성화된 주체
    - 시설보호 같은 기본적 서비스 제공
    - 공적 재정의 한계와 다원적 사회성립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주체(민간영리 부문)


▶ 민간영리 부문[BUSINESS SECTOR]
    - 복지국가의 재정위기로 민간위탁 관심
    - 인구의 고령화로 실버산업 확대
    - 공공부문의 서비스 한계로 관심 고조
    - 정부의 민영화 정책 조류 영향

 

 

반응형

'사회복지 > 사회복지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의 접근방법  (0) 2020.10.07
사회복지의 대상(객체)  (0) 2020.10.06
사회복지의 이데올로기와 윤리  (0) 2014.05.20
사회복지의 특성과 속성  (0) 2014.05.20
사회복지의 동기와 가치  (0) 2014.05.0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