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사회문제론

기능주의 관점의 사회문제이론 - 사회병리론

by 지식오아시스 2014. 5. 8.
반응형

기능주의 관점의 사회문제이론

 

1.사회병리론

 

1). 병리학(pathology)을 사회문제에 적용
 * 질병의 원인과 특징 및 질병이 야기하는 질환상태와 그 과정을 연구하는 의학의 한 영역 (=의학적 또는 생물학적 모델)

2). 사회 유기체론에 근거
 * 콩트(comte) : 사회 문제 = 유기체의 병리적 현상, 인간의 질병
 * 스펜서(spencer) : “사회가 하나의 골격을 갖추고 있으며 사회가 성장함에 따라서 구조 또한 복잡해진다… 사회에는 상호의존적인 부분들이 있고 모든 특정 부분의 삶을 능가하는 전체의 삶이 있다는 점에서 사회가 생물체와 유사하다.”

3). 균형상태를 방해하는 요인을 질병, 병리상태로 간주
 * 생물체의 정상적 상태(균형상태) = 사회의 정상적 상태(균형상태)
 * 신체의 신경에 질병(신체마비) = 사회 관계에서의 부적응(사회병리)

4). 사회관계에서의 부적응 = 부도덕한 행위
 * 도덕적 기대를 위반하는 사람이나 상황을 병적인 것으로 파악하며 문제상황으로 규정함
 * 사회관계에서의 부적응을 개인적 측면에 초점을 둠 :
a. 초기 : 유전적 결함으로 인한 사회 부적응
롬브로소 : 범죄인의 신체적 특성이 원시인과 닮음
스펜서 : 사회진화론. 적자생존의 과정을 통해 인류가 발전
빈민 - 비난 받고 감독 받아야 할 존재,사회복지 급여제공을 부정적으로 여김
b. 후기 : 사회적 요인에 의한 사회 부적응
쿨리 : 범죄자 중 정상적인 특성 지닌 사람 많음을 주장,19세기말 도시화, 슬럼화된 지역의 영향으로 인한 아동범죄

5). 기타(기본입장)
 * 사회문제의 근원은 사회가 아니라 개인에 있다.
 * 인간에게는 건설적인 충동뿐만 아니라 파괴적 충동도 있다.
 * 사회는 인간의 파괴적 충동은 억제하고 건설적 충동은 권장할 의무가 있다.
 * 사회문제의 해결은 개인을 변화시키는 것이며 장기적으로 개인의 변화는 사회의 변화를 가져온다.

 

대표학자 : C. Henderson, S. Smith
 * 1900~1910년대 사회병리학 개론서 출간. 미국에서 폭넓게 수용됨
 * 다윈의 진화론 영향 ; 사회개혁론자, 개신교 성직자들의 지지

 

2.사회병리론-정의. 원인. 해결책

사회문제의 개념
규범이나 도덕적 가치에서 벗어나는 행위나 상황

 

사회문제의 원인 : 사회화의 실패
1) 개인적, 유전적 결함 요인
2) 사회환경적 요인 :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부도덕한 가치가 학습된 결과

 

사회문제의 해결책
1) 우생학적 관점(초기) : 유전적 결함을 지닌 개인의 단종과 우수한 유전적 소질을 가진 개인들의 출산을 장려
2) 사회제도의 병리에 초점(후기) : 가치관의 변화, 도덕 교육의 강화

 

3. 사회병리론-한계점

1. 완벽하게 건강하고 정상적인 사회가 존재할 수 있는가?
 * 생물체의 균형 상태 = 사회의 균형 상태
 * 사회체계 및 모든 개인이 주어진 역할과 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는가?
2. 전체주의와 개인의 행복추구권의 상치
 * 사회의 구성원보다 사회의 전체 기능과 균형을 우선시 : 전체주의 지향
3. 병리 상태, 사회가 균형 있는 상태는 구체적으로 어떤 상태인가?
4. 의학적 개념의 적용, 사회부적응을 보이는 소수의 대상
   (정신병자, 약물중독자, 비행 및 범죄자)에 관심의 초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