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오아시스166

기능주의 관점의 사회문제이론 - 일탈행위론(자살이론,아노미론,접촉차 이론,하위문화론) 일탈행위론 1. 사회문제의 발생원인을 사회 전체가 아닌 개인의 행위에 초점 1) 사회해체론 : 사회해체율이 높은 지역에 사는 어떤 사람들은 규칙을 어기는데 반하여 같은 지역의 다른 사람 들은 규칙을 준수하는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논의의 초점을 둠 2) 사회해체론 : 사회구조 vs 일탈행위론 : 개인 2. 일탈행위란? 사회체계의 규범으로부터 벗어난 행위 또는 상황 3. 일탈행위는 어느 사회에서나 관찰되는 문제 : 정상적 행위 * 역으로 일탈행위가 전혀 없는 사회가 비정상적 사회임 4. 사회문제의 정의 : 규칙을 위반하거나 불이행하는 것 5. 사회문제의 원인 : 사회화의 결함 6. 사회문제의 해결책 : 개인의 재사회화 7. 일탈행위론의 분류 : 1) 자살이론 2) 아노미론 : 목표와 수단의 불일치로 일탈.. 2014. 5. 8.
기능주의 관점의 사회문제이론 - 사회해체론 1. 사회해체론 1. 사회문제를 개인의 행위가 아닌 사회구조와 연결시켜 파악 * 사회병리론의 효용성에 대한 비판 2. 사회해체? 1) 전체와 그 전체의 각 부분들이 상호 질서 정연한 관계가 아니라 서로 불일치하거나 상이한 관계의 상태(부분들간의 부적응) 2) 토마스와 즈나니에츠키(Thomas & Znaniecki) : 규칙이 개인에 대해 영향력을 잃은 현상 * 무규범 : 행위의 기준이 존재치 않는 것 * 문화적 갈등 : 서로 대립되는 규칙이 존재함으로써 한가지 규칙을 어기지 않을 수 없는 상태 * 붕괴 : 존재하는 규칙에 동조하더라도 약속된 보상을 받지 못하거나 오히려 제재 받게 되는 것 3. 인간의 사회적 행위를 통제하는 사회 규칙을 중심으로 사회 각 부분들의 상호연관성을 분석하려 했음 : 이전(사회병.. 2014. 5. 8.
기능주의 관점의 사회문제이론 - 사회병리론 기능주의 관점의 사회문제이론 1.사회병리론 1). 병리학(pathology)을 사회문제에 적용 * 질병의 원인과 특징 및 질병이 야기하는 질환상태와 그 과정을 연구하는 의학의 한 영역 (=의학적 또는 생물학적 모델) 2). 사회 유기체론에 근거 * 콩트(comte) : 사회 문제 = 유기체의 병리적 현상, 인간의 질병 * 스펜서(spencer) : “사회가 하나의 골격을 갖추고 있으며 사회가 성장함에 따라서 구조 또한 복잡해진다… 사회에는 상호의존적인 부분들이 있고 모든 특정 부분의 삶을 능가하는 전체의 삶이 있다는 점에서 사회가 생물체와 유사하다.” 3). 균형상태를 방해하는 요인을 질병, 병리상태로 간주 * 생물체의 정상적 상태(균형상태) = 사회의 정상적 상태(균형상태) * 신체의 신경에 질병(신체.. 2014. 5. 8.
기능주의 관점의 이해 사회문제의 성격 및 인식 태도 1기능주의 관점의 주요 3대개념 1. 사회적 욕구(social need) - 기능적 전체조건이라고도 한다. - 개인 차원의 동기와는 구별되는 것 - 모든 사회가 유지. 존속하기 위해서는 특정의 욕구를 가지고 있음 2. 부분 - 사회적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법과 관련 - 상호연관적. 상호의존적 (예 : 종교, 가족) 3. 평형상태 - 전체와 부분 사이의 관계성을 규정하는 개념 - 전체사회-체계 / 부분-하위체계 / 하위체계의 통합-사회 - 통합상태의 하위체계는 특정 유형의 과정에 의해 평형상태 유지 기능주의 관점 1. 기능  - 기능주의 이론에서는 기능의 개념을 중시  - 기능적 이란 사회의 한 부분이 전체 사회의 안정에 기여하는 것을 의미  - 반.. 2014. 5. 8.
사회문제의 분류 체계 사회문제의 분류 체계 Merton & Nisbet (1971) 1. 사회해체 문제 : 인구문제,인종문제, 가족해체, 노동과 자동차문제, 빈곤문제, 지역사회 해체 및 갈등, 폭력 등 2. 일탈행위 문제 : 정신장애, 범죄 및 청소년비행, 약물중독, 알코올중독, 자살, 성문제 등 헨슬린의분류 (Henslin, 1976) 1. 사회적 사황에서 일탈행동 : 성적 일탈행위, 알코올.약물중독, 강간, 살인,범죄 2. 사회적 불평등 : 부와 빈곤, 인종차별, 성차별, 신체 및 정신건강 등 3. 사회변화 및 거대문제 : 가족변화, 도시문제, 인구 및 식량문제, 환경문제, 테러리즘 김영모의 분류 (1982) 1. 구조적 문제 : 빈곤문제, 소득분배, 노동문제, 교육 불평등 2. 해체적 문제 : 가족해체, 빈민지역, 인구.. 2014. 5. 8.
사회문제 접근방법,분류체계,성격 및 인식태도 사회문제의 접근방법 – 사회과학 이외의 접근방법 종교적 접근방법 : 신이 내린 도덕, 윤리적 계명위배 는 곧 죄 법률적 접근방법 : 역사적으로 종교적 접근과 밀접한 관계 : 법규 위반에 따른 체포,고발, 처벌로 문제해결 저널리즘적 접근방법 : 20세기 라디오 및 텔레비전등의 매체는 사회문제를 대중에게 인식 : 1차적목적-사회문제 폭로, 2차적목적- 이해,예방,해결 문학.예술적 접근 방법 : 작가의 판단으로 비유적 서술, 신랄한 비판 : 대중은 사회문제에 대해 간접경험, 이해 사회문제의 접근방법 – 사회과학적 접근방법 1 사회학적 접근방법 - 사회문제라는 사회적 현상을 이론적으로 설명 : 관련된 원인적 요인들을 발견하려는 과학적 연구활동 : 순수한 이론적 연구에 초점 - 실용적 영역의 사회학적 접근 : 사.. 2014. 5. 8.
사회문제 발생 원인에 대한 관점과 비판 사회문제 발생 원인에 대한 관점 (Eitzen & Zinn, 1944) 1. 행위자 책임론. 개인적 결함 접근법(person-blame approach) : 인간이 약점에서 사회문제가 기인한다고 보고 예) 슬럼지역 소재 학교학생의 학업실패 원인 : 공부에 대한 무관심.가족의 영어구사능력 부족. 부모의 낮은 교육수준 등 학생과 개인의 결함 2. 체계책임론. 사회체계결함접근법(system-blame approach) : 사회체계의 결함 혹은 사회제도의 모순 예) 학습실패의 원인은 과밀학급. 비능률적 교과과정. 학교자원의 지역간 불균형. 교사의 자질부족 등 교육환경. 범죄의 원인 1. 개인 범죄자의 결함 : 행위자책임론, 개인적 결함 접근법 (person-blame approach) 2. 사회체계의 결함 혹은.. 2014. 5. 8.
사회복지의 동기와 가치 사회복지의 동기 (MOTIVES) 종교적 동기,공리주의적 동기,인도주의적 동기,전문직업적 동기 1. 종교적 동기 [RELIGIONAL MOTIVES] 기독교의 경우:예수그리스도의 사랑, 친절, 평화의 기본정신, 모든 인간은 서로 형제처럼 사랑하고……….. 종교적 교리, 불우한 타인 구제하는 자선행위 2. 인도주의적 동기 [humanitarianism] 18C 철학자 박애정신 - 인종적 편견이나 국가적 이기심을 버리고, 인류 전체의 복지증진 위해 평등하게 사랑하자 - 돕는 것은 우월자가 열등자를 천시, 원조 아님 3. 공리주의적 동기[UTILITARIANISM MOTIVES] 19C Bentham, Mill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인간 행위의 규범으로 삼는 윤리학설에서 기원 : 향락희구 [the gr.. 2014. 5. 8.
사회복지의 개념 변화 과정 사회복지의 개념 변화 과정 -보충적인 것에서 -제도적인 것으로 -특수한 서비스활동에서 -보편적 서비스활동으로 -최저기준 달성에서 -최적기준 달성으로 -개인적인 개혁에서 변화과정 ===> -사회적인 개혁으로 -자발적인 것에서 -공적인 것으로 -빈민구제에서 -복지사회 건설로 -자선(CHARITY)에서 -시민의 권리로 사회복지 패러다임의 변화 구분 전통적인 패러다임 현대적인 패러다임 기본이념 보호, 구제 보장, 정상화, 참여 대상자 저소득자, 사회적 약자 복지욕구(NEEDS)가 있는 모든 국민 재 원 정부부담, 무료서비스 정부와 민간, 이용자 부담(유료) 서비스결정 행정기관 재량 이용자의 선택, 자기결정 공급주체 정부설립, 민간운영 복지다원주의(민간, 개인, 단체) 서비스장소 사회복지시설중심(수용) 재가복지사.. 2014. 5.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