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회해체론
1. 사회문제를 개인의 행위가 아닌 사회구조와 연결시켜 파악
* 사회병리론의 효용성에 대한 비판
2. 사회해체?
1) 전체와 그 전체의 각 부분들이 상호 질서 정연한 관계가 아니라 서로 불일치하거나 상이한 관계의 상태(부분들간의 부적응)
2) 토마스와 즈나니에츠키(Thomas & Znaniecki) :
규칙이 개인에 대해 영향력을 잃은 현상
* 무규범 : 행위의 기준이 존재치 않는 것
* 문화적 갈등 : 서로 대립되는 규칙이 존재함으로써 한가지 규칙을 어기지 않을 수 없는 상태
* 붕괴 : 존재하는 규칙에 동조하더라도 약속된 보상을 받지 못하거나 오히려 제재 받게 되는 것
3. 인간의 사회적 행위를 통제하는 사회 규칙을 중심으로 사회 각 부분들의 상호연관성을 분석하려 했음
: 이전(사회병리론) 보다 이론의 발전과 방법론상의 정확성을 기함
4. 사회를 상호의존적인 각 부분들의 합체, 즉, 사회를 부분-전체관계로 간주함.
5. 사회변화가 규칙의 통제력을 약화시킨다.
사회변화 -> 사회구성원들의-> 상호작용 빈도 감소-> 사회구성원들의-> 정서적 유대감 약화-> 규칙 공유 감소 규칙의 통제력 약화 -> 사회 해체(문제)
6. 기타 (기본입장)
* 사회규칙이 없으면 행동지침도 없다.
* 사회생활에서 예측 가능성은 사회적 규칙에 달려있다.
* 사회질서는 사회적 규칙에 대한 합의를 요구한다.
대표학자 : Cooley, Thomas & Znaniecki, Ogburn
* 쿨리 : 일차적 집단관계가 붕괴되는 현상.
* 토마스와 즈나니에츠키 : 규칙이 개인에 대해 영향력을 잃는 현상.
규칙이 사회구성원을 잘 통제하지 못하는
경우에 사회문제가 발생.
* 오그번 : 관습이나 규범이 과학기술의 변화보다 지체하는 경향으로
인한 사회문제발생
2. 사회해체론-개념. 원인. 해결책
사회문제의 개념 : 규칙을 위반하거나 불이행하는 것
1. 규칙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2. 규칙이 사문화된 경우
3. 서로 다른 내용들 규칙이 존재함으로써 통제력을 상실한 경우
사회문제의 원인 : 사회변화
사회변화로 인하여 사회체계의 부분들간에 부조화가 일어나며 이러한 결과로서 사회해체가 발생
사회문제의 해결책
1. 사회체계의 불균형 상태를 균형상태로 회복
2. 기술적 변화의 속도를 늦추어 문화의 발전 속도와 균형을 이루는 방법
: 현실성?
3. 사회해체론-한계점
1. 사회변화에 대한 부정적 시각
* 사회변화 : 사회체계와 규칙이 와해되거나 붕괴되는 원인
* 사회개혁자의 규칙위반이 사회발전을 가져온 경우?
2. 규칙의 다양성에 대한 부정적 시각
* 다양한 집단, 집단 마다 다양한 규칙과 고유의 규칙이 존재
* 다양한 규칙이 사회해체의 상황을 조장할 수도 있지만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도 있음
3. 생태학적 오류
* 사회해체율이 높은 지역의 사람들은 규칙을 어기는 사람들로만 구성?
'사회복지 > 사회문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능주의 관점의 이해 (0) | 2018.07.13 |
---|---|
기능주의 관점의 사회문제이론 - 일탈행위론(자살이론,아노미론,접촉차 이론,하위문화론) (0) | 2014.05.08 |
기능주의 관점의 사회문제이론 - 사회병리론 (1) | 2014.05.08 |
기능주의 관점의 이해 (0) | 2014.05.08 |
사회문제의 분류 체계 (0) | 2014.05.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