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찰스부스의 빈곤조사
찰스 부스(Charles Booth)의 런던시 빈곤조사 (1889년)
리버풀(Liverpool)의 선박회사 소유자인 찰스 부스가 런던 市 빈민의 생활실태를 자신이 비용을 들여 실증적 으로 조사
1889년 ‘ 런던시민의 생활과 노동’ 이란 책에 조사결과 발표함
찰스 부스의 빈곤조사 내용
조사의 두 가지 측면
1. 직업 - 노동조건, 노동시간, 임금수준, 실업, 불규칙한 취업 등
2. 거주지역 - 거주하는 집의 크기, 건축상태, 주거환경의 질, 과밀도 등
찰스 부스의 빈곤조사 결과
런던시민을 계급으로 나눔
범 주 | A. 부랑자 B. 호구지책을 위한 임시적 일자리를 가진 사람 C. 계절적 또는 일시적인 정규노동 D. 정규 노동자이지만 가난한 사람 C+D E. 상당한 임금을 받는 정규 노동 F. 노동자 상층 E+F G. 중하계급 H. 중상계급 G+H |
0.9% 7.5% 22.3% 51.5% 17.8% |
빈곤의 원인을 새롭게 제시함
A에서 D계급까지가 빈민인데, 이를 다 합치면 30.7%
런던시민의 1/3이 빈민이라는 결과가 나옴
빈곤의 주된 원인은 저임금과 불안정한 일자리 인 것으로 밝혀짐
부스의 조사는 과학적이었고, 그의 조사결과는 커다란 반향을 일으켰지만, 몇 가지 한계가 있음
1. 조사의 범위가 불분명: 런던 전체를 대상으로 하지는 못했음
2. 빈곤선(poverty line)를 제안했지만 가족의 크기와 자녀의 연 령을 빠뜨림
3. 빈곤에 관한 정의 불분명
4. 8계급으로 분류하는 객관적 기준 제시 못함
찰스 부스의 빈곤조사의 의의
빈곤이 개인의 잘못이 아니라 사회적 실패의 결과라는 사실을 과학적으로 증명
빈곤이 매우 광범위하게 존재함을 보여줌
억압적인 빈민법으로 빈곤이 해결될 수 없다는 사실을 많은 사람들이 인식하도록 함
국가가 빈민구제정책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도록 하는 유용한 증거로 활용
반응형
'사회복지 > 사회복지발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의 사회보험 - 산재보험, 의료보험, 연금 (0) | 2023.04.20 |
---|---|
사회보험의 개요와 종류 (0) | 2023.04.18 |
상호부조와 자조 인보운동 (12) | 2023.04.15 |
민간활동과 빈곤조사 - 박애사업과 자선조직협회 (0) | 2021.02.09 |
빈민법의 퇴장 - 노령연금의 도입 (0) | 2021.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