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회복지행정의 이념
효과성effectiveness : Ct.의 욕구충족을 위해 제공된 서비스가 적합했는가?
효율성efficiency : 최소의 추입으로 최대의 산출을 달성했는가?
편익성convenience : Ct.가 사회적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가?
공평성equity : 동일한 욕구를 가진 Ct.에게 동일한 서비스가 제공되었는가?
선별주의와 보편주의 관점에서 본 사회복지행정의 이념 |
사회복지행정의 이념은 선별주의냐, 보편주의냐에 따라 상호 대립될 수 있는데, 사회복지조직에서 최소한의 자원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거둔다는 측면에서 선별주의 방법이 바람직하고, 서비스의 공평성, 편익성 측면에서는보편주의 방법이 적당하다. |
선별주의 |
보편주의 |
클라이언트에게 수급자격 및 조건을 부여하여 서비스를제공함으로써 낙인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클라이언트에게 특정한 자격이나 조건을 두지 않고서비스를 제공한다. |
효과성, 효율성 이념에서 우월 |
공평성, 편익성 측면에서 우월 |
2. 사회복지행정의 필요성
산업화, 도시화에의한 현대사회의복잡성에 따라 |
--> |
확대된 범주의 사회복지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공식적이고 체계적인 조직들을 통한 실천활동이 필요하게 되었음. |
--> |
그결과, 조직활동을기획∙ 실행∙ 평가∙ 수정할 수 있는 실천활동이 필요하게 되었음. |
--> |
개별화되고 분화된 사회복지활동들을 사회적목표에 기여하도록조정하고 통제할필요가 있음. |
--> |
따라서 사회복지실무자들은 사회복지행정에 대한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필요성이 요구됨. |
-그외인적∙물적자원의 효율적 활용, 한정된 자원을 통한 효과성과 효율성의 향상 등
3. 사회복지행정의 과정
1)기획(Planning, 계획)
:목표의 설정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업 및 수행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과업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변화하는 목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사회복지행정가는 변화하는 목표에 맞춰 과업을 계획하고 방법과 기술을결정해야 한다.
2)조직(Organizing)
:조직구조를 설정하는 과정으로서 과업이 할당되고 조정 된다. 조직구성에 있어서 구성원들에게 역할과 책임이분명하지 않으면 직원간갈등이 초래되고 비효율적이고 비효과적인 조직이 된다.
3)인사(Staffing)
:직원의 채용 및 해고와 관련된 인사과정으로 사회복지행정책임자는 직원의 임면 뿐만 아니라 훈련과 교육, 직원의 적절한 활동 환경의 유지에 대해서도 책임을 져야 한다.
4)지시(Directing, 지휘)
:행정책임자는 합리적인 의사결정, 능동적인 관심, 헌신적인 태도, 직원의 공헌을 칭찬하고 책임과 권한을 효과적으로 위임하며 개인과 집단의 창의성을 고려하여 지시하는 지도자가 되어야 한다.
5)조정(Coordinating)
:조직활동에서 구성원들을 상호 연관짓는 중요한 기능으로서 사회복지행정가는 부서간, 직원들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망을 만들어 유지하고 조정해야 한다. 이를 위한방법으로 위원회의 조직등이 있는데, 위원회에서는프로그램, 인사, 재정 및 긴급한문제 상황 등을 다루게 된다.
6)보고(Reporting)
:사회복지행정가는 직원, 이사회, 지역사회, 행정기관, 후원자등에게 조직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알려주 는과정으로서 주요 활동은 기록, 정기적인 감사, 조사연구가 있다.
7)재정(Budgeting, 예산)
:사회복지조직은 재정을 투명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조직의 재정행정가는 현재를 포함하여 중∙장기적인 재정계획을 수립해야하고 회계규정에 따라 재정 운영에 대한 책임을 갖는다.
8)평가(Evaluating)
:평가는 크게 효과성 평가와 효율성 평가의 두가지 척도를 적용할 수 있는데, 클라이언트의 욕구나 문제의 해결에 적절했는지에 대한 서비스의 효과성과 자원의 투입 및 산출과 관련된 효율성을 평가한다.
'사회복지 > 사회복지 행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행정의 전망과 과제 (0) | 2018.07.14 |
---|---|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0) | 2018.07.14 |
미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0) | 2016.01.06 |
사회복지행정의 특성과 영역 (0) | 2014.06.05 |
사회복지행정의 개념 (0) | 2014.04.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