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의 정책적 접근방법 - (건강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국민건강보험제도
국민건강보험제도의 의의
- 건강보험제도 : 일상생활의 우연한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하여 일시에 고액의 진료비가 소비되어 가계가 파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 건강보험제도 : 일상생활의 우연한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하여 일시에 고액의 진료비가 소비되어 가계가 파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국민건강보험의 특성
법률에 의한 강제가입 일정한 법적 요건이 충족되면 본인의 의사에 관계없이 강제 적용됨[질병 위험 큰사람만 가입-파탄
- 부담능력에 따른 보험료의 차등부담(형평부과)
- 보험급여의 균등한 수혜 - 보험료 납부의 강제성
- 건강보험은 단기보험 [1년 단위 회계연도 기준으로 수지예상계산 보험료 산정]
국민건강보험의 역사
-1963년 11월 사회보장에 관한 법률,12월6일 의료보험법 제정:유명무실
- 1970년 근로자,공무원,군인 적용대상 의료보험법 제정 : 시행 못함
- 1979년 강제임의적용의 병행과 당연 적용의 범위를 단계적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으로 전문 개정됨
- 1980년대 전국민의료보험실시를 위한 준비에 착수 : 시범사업실시
- 1988년 1월에 농어촌 지역실시, 1989년 7월에 도시지역까지 확대 적용하여 의료보험 실시 12년 만에 전국민의료보험을 달성 - 1997년 12월 31일 『국민의료보험법』이 제정 1998년10월 1일 조합주의 방식에서 통합주의 방식으로 변경
- 2000년 7월 1일 『국민건강보험법』시행
- 2003년 7월 1일 직장, 지역재정 통합
- 2007년 4월 27일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정
- 2008년 7월 1일 노인장기요양보험 실시
국민건강보험의 목적
국민건강보험의 자격취득, 보험료, 급여
구분 | 내용 |
자격취득 | [직장가입자] - 상시 1인 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장에 고용된 근로자와 그 사용자 - 공무원 및 교직원으로 임용, 채용된 자 [지역가입자] - 자영업자, 비정규직 근로자 등 [외국인] |
보험료 | - 보험료 = 표준보수월액 X 보험료율 - 당해년도 보험료율에 따라 사용자와 가입자가 부담 예) 보험료율 5.64%(사용자2.82%, 가입자2.82%) 장기요양보험료 포함(건강보험료의 6.55%) |
보험급여 | - 보험료 = 표준보수월액 X 보험료율 - 당해년도 보험료율에 따라 사용자와 가입자가 부담 예) 보험료율 5.64%(사용자2.82%, 가입자2.82%) 장기요양보험료 포함(건강보험료의 6.55%)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의의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란 고령이나 노인성질병 등으로 인하여 6개월 이상 동안 혼자서 일상 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 등에게 신체활동 또는 가사지원 등의 장기요양급여를 사회적 연대원리에 의해 제공하는 사회보험제도
- 2008. 7. 1 「노인장기요양보험법」시행
- 그동안 가족의 영역에 맡겨져 왔던 치매.중풍 등 노인에 대한 장기간에 걸친 간병, 장기요양 문제를 사회연대원리에 따라 국가와 사회가 분담
- 노인들은 더 이상 자식들에게 부담을 주지 않고 계획적이고 전문적 장기요양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 보다 품위 있는 노후생활 영위
- 가족의 노인요양부담에 대한 정신적, 육체적, 경제적 부담에서 벗어나 경제, 사회활동에 전념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급여내용(재가급여)
급여의 내용 - 재가급여
- 단기보호, 복지용구 제공, 재가급여는 본인부담 15%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급여내용(시설급여, 특별현금급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내용
급여의 내용 - 시설급여
- 시설급여는 노인의료복지시설(노인전문병원 제외)에 장기간동안 입소 하여 신체활동지원, 심신기능의 유지.향상을 위한 교육.훈련 등을 제공 하는 요양급여(본인부담 20%)
급여의 내용 - 특별현금급여
- 가족요양비 : 시설기관 부족, 천제지변, 신체 정신 성격 등의 사유
- 특례요양비 : 수급자가 요양기관이 아닌 곳에서 장기간 급여를 받는 경우 급여의 일부
- 요양간병비 : 노인전문병원,요양병원에 입원한 때 비용의 일부 (특례요양비, 요양간병비 제도 미시행)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등급
등급 | 심신기능의 상태 기능상태심신의 기능상태 | 장기요양인정점수 |
1등급 | 일상생활에서 전적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 | 95점 이상 |
2등급 | 일상생활에서 상당 부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 | 75점이상 95점미만 |
3등급 | 일상생활에서 부분적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 도움이 필요한 상태 | 55점이상 75점미만 |
-심신의 기능상태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도움(장기요양)이 얼마나 필요한가?”를 지표화한 장기요양인정점수를 기준으로 함 - 총 52개항목(신체기능-12, 인지기능-7, 행동변화-14, 간호처치-9개, 재활-10)
고용보험제도
고용보험제도의 의의
- 고용보험이란 실직근로자에게 실업급여를 지급하는 전통적 의미의 실업보험사업 외에
- 취업알선을 통한 재취업의 촉진과 근로자의 고용안정을 위한 고용안정사업,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사업 등을 상호 연계하여 실시하는 사회보험제
고용보험제도의 내용
자격취득, 보험료, 급여
구 분 | 내용 |
자격취득 | - 가입대상 : 1인 이상의 근로자가 있는 모든 사업주 |
보험료 <율 1.15%(2011)> | - 고용보험료는 년초에 사업주가 당해 보험연도의 근로자 임금총액 추정액에 보험사업별 보험료율을 곱하여 보고·납부하고(개산보험료), - 다음 연도초에 근로자의 실제 임금총액에 보험사업별 보험료율을 곱하여 확정보험료를 보고·납부하여 정산(확정보험료) |
보험급여 | - 고용안정(고용촉진지원, 사업주부담), - 실업급여(사업주, 근로자), - 직업능력개발(사업주부담, 근로자수에 따라 부담율이 다름) |
'사회복지 > 사회복지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공부조의 개념과 원리 (0) | 2023.05.10 |
---|---|
사회복지의 정책적 접근방법 - 국민연금과 산업재해보상보험 (0) | 2021.02.12 |
사회복지의 정책적 접근방법 1 (사회보험) (0) | 2021.02.04 |
한국의 사회복지발달 (0) | 2021.02.03 |
구미의 사회복지발달2 (0) | 2021.0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