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가치와 윤리
가치(value) : 무엇이좋고(value) 바람직(desirable)한가
윤리(ehics) : 무엇이옳고 (right)바른지(correct)
•자신의 개인적가치를 명료화하는 것이 필수
•개인의 문화적 경험과 배경은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윤리적 문제야기 가능
•사회복지전문가 윤리: 인간의 존엄성과 독특성, 권리, 기회등을 중요시하는 사회복지전문직의 기본가치에 기반, 실천함에 있어 이러한 기본가치를 증진시키도록 통제하는조건(NASW, 1993)⇒ 전문적가치를 실천적 행동으로 전환하도록 돕는 지침
일반윤리 : 모든 사람은 동등하게 존중
전문가 윤리 : 모든 사람은 동등하게 존중 사회복지서비스 우선순위는 클라이언트 이익이 우선, 사회복지사는클라이언트에게 최선의 이익이 되도록 개입
•사회복지사의 비윤리적 행위: 전문직의 윤리강령에 의해 확립된 전문적인 원칙을 위반하여 실천한 경우
•Levy(1988) : 사회복지사들의 무능력이나 태만 때문에 사회복지실천에서 요구하는 원칙을 지키지 못한 경우, 책임을 져야한다
•사회복지 윤리 강령: 사회복지사로서 능력, 역할 및 지위에 맞게 행동하도록 이끌어서 사회복지전문직의 구성원으로서 사회적 기대에 부응하는 실천을 하도록 안내하는 지침-우리나라: 1992년 10월 3차례 개정을 통해 한국사회복지사 윤리강령 채택, 2001년 재개정
•사회복지실천에서 윤리적 갈등은 윤리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문제의 윤리적측면에서 발생
•Loewenberg(1998) 사회복지실천에서 윤리적 갈등 속성 ①가치 상충 ②의무 상충 ③클라이언트체계의 다중성④결과의모호성 ⑤힘의 불균형
•윤리적갈등상황
①자기결정권 ②온정주의 ③비밀보장 ④동료와 윤리적 갈등 ⑤기관의 관료주의 ⑥한정된 자원의 분배 ⑦전문적관계의 경계설정의 모호성
•Loewenberg의윤리적원칙
①생명보호의 원칙 ②평등과 불평들의 원칙 ③자율성과 자유의 원칙 ④최소한 손실의 원칙 ⑤삶의 질 원칙 ⑥사생활보호 와비밀보장의 원칙 ⑦진실성과 정보개방의 원칙
•윤리적 의사결정의 확인작업
①만약 다른 사람이 이 일을 수행했어도 당신의 선택한 지금의 방법으로 행동 할 것인가? ②당신은 유사한 다른상황에서도 동일한 행동을 수행할 의지가 있는가? ③당신은 자신의 결정을 다른사람에게 설명하고 정당화 할 수있는가?
'사회복지 > 사회복지 실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대상 사회복지실천 - 사정기술1 (0) | 2021.01.22 |
---|---|
개인대상 사회복지실천기술-개인대상 기초기술 (0) | 2021.01.21 |
사회복지실천기술에 대한 이해 - 사회복지사 자신 이해하기 (0) | 2018.06.09 |
사회복지 실천기술 (0) | 2018.06.07 |
사회복지실천 기술에 대한 이해 (0) | 2014.04.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