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제 연구의 역사
18세기
- 사회과학에 대한 접근
19세기
-유럽에서 시작
-사회적 배경
1. 산업혁명 이후 산업화, 도시화로 인한 사회질서의 급변
2. 프랑스혁명 이후 봉건국가의 해체와 근대국가와 시민사회의출현으로 인한 정치적 경제적 권력의 변화
-지적 배경 : 개혁사상. 인간의 존엄성을 강조
-대표적 학자 : 오그스트 콩트, 에밀 뒤르껭, 칼 맑스 등
20세기
-미국에서 발전
19세기 유럽에서 시작
오그스트 콩트(August Comte)1789~1857
1. sociology(사회학)의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
2. 대중들에게 사회문제의 원인과 해결방법을 교육시키고 사회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사회발전을
촉진할 수 있다고 생각함
에밀 뒤르껭(Emile Durkheim)1855~1971
1. 사회의 안정에 기여하는 요인들에 관심을 가지고자살의 원인을 통계학적으로 분석하는 연구
2. 집단결속력이 약화된 상황에서 자살하는 경향이있다고 주장
칼 맑스(Karl Marx)1818~1883
1. 사회의 희생자, 소외계층에 관심
2. 사회의 안정은 일부 계층에서는 이득이 되지만이것이 사회의 불우한 계층의 빈곤, 불행, 착취를
근거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의 원인이 부와권력의 잘못된 분배에 있다고 생각함
미국에서 사회문제 연구가 발전하게 된 사회적 배경
-유럽에서 일찍이 산업화가 진전되고 정치적 변혁이 확산되어 사회적안정이 크게 위협 받고 있었으며 이와 관련한 여러 가지 사회 문제들이발생한데 비하여 미국은 산업화가 늦게 시작되었고 남북전쟁의내란을 겪은 이후 산업화와 도시화가 촉진되고 많은 외국인의 이민으로여러 가지 사회문제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미국의 학자들은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유럽에서 만들어진사회학에 매력을 느끼게 되었고 이를 계기로 사회문제에 대한연구와 더불어 사회학이 발전하게 되었다.
-1890년대 중반, 대학에서 사회학 강좌 개설
-1905년 미국 사회학회 발족 : 사회문제에 대한 연구 시작
미국 사회학의 발전단계루빙톤과 와인버그(Rubington & Weinberg)
기반 성립기1905~1918
1.사회학자 대부분이 성직자 자손
2.사회문제의 원인 : 도시주의
해결방법 : 사회개혁을 선호
과학적 정책 형성기1918~1935
1.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사회행동을 유도하려면사회학적 지식체계를 발전시켜야 한다고 생각
2.사회문제의 해결책을 찾기보다 사회학을 보다과학적 학문으로 발전시키려는데 관심이 집중
이론, 조사 및응용의 통합기1935~1954
1.이론, 조사, 응용이 통합적으로 관련되어 있는것으로 보기 시작
2. 과학적 접근이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사회학을과학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고 확신하게 됨
전문성 연마기1954~
1.사회학자의 수, 대학에서의 개설과목, 사회학적연구물의 양적 증가
2.사회학의 세분화, 전문화
'사회복지 > 사회문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능주의 관점의 이해 (0) | 2014.05.08 |
---|---|
사회문제의 분류 체계 (0) | 2014.05.08 |
사회문제 접근방법,분류체계,성격 및 인식태도 (0) | 2014.05.08 |
사회문제 발생 원인에 대한 관점과 비판 (0) | 2014.05.08 |
사회문제의 일반적 이해-사회문제정의와 접근방법 (0) | 2014.04.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