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1
미국지역사회복지의 발달과정
역사는 단순한 사건을 기술하는 것이 아니고 현재 필요한 것을 바탕으로 한 선택이고 해석이다.
모든 역사는 현재이다(by B. Croce).
지역사회복지사업은 해당시대의 사회문제에 대한 반응으로서 생성되고 발전된다.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이해를 위한 전제
크레이머와 스펙트의 주요 활동을 중심으로 한 단계구분과 콕스와 가빈의 시기별 단계구분을 종합하여 5단계로 나눔
자선조직화운동시기(1865-1914) | 지역공동모금과 협의회 발전시기(1914-1929) | 공공복지사업의 발전시기(1929-1954) | 지역사회조직의 정착시기(1955-1980) | 민간자조직의 활성화 시기(1980-현재) |
•1877 버팔로 C.O.S. •1886 뉴욕 Neighborhood Guild •1888 시카고 Hull House | •1909 밀워키, 피츠버그 협의회 •1913 자선연합회 •1925 Steiner의 C.O. 발간 |
•1935 사회보장법 •1948 UN “세계인권선언” 채 택 •1953 보건 교육 후생성 설립 |
•1950말 정부 정신건강분야 예산확대 •1964 빈곤과의 전쟁 | •1980년 이후 연방정부의 재정 지원 대폭감소 •주정부 및 지방정부의 책임증대 •재정확보의 다변화 모색 |
•산업화, 도시화, 이민문제, 흑인문제 •사회진화론, 급진주의, 실용주의, 자유주의 |
•산업화, 도시화 현상의 가속화 •인종간의 대립갈등 심화 •정신분석과 반지성주의 |
•대공황, 정부의 개입 확대 •노동조합운동의 활성화 •제2차세계대전 •뉴딜정책 |
•민권운동, 학생운동 •연방정부의 사회개혁 프로그램 •월남전 |
•사회복지의 민영화 •정보화사회의 출연 •세계경제의 가속 •경제력 분산화 •미시적 혹은 거시적 접근을 동시에 구사 |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 활동
구분 | 역사적 배경 | 사회문제의 근원 | 이데올로기 | 참여자 | 주된기능 | 강조점 | 영 향 |
자선 조직 협회 | • Charity Organization Society : C.O.S. 자선조직협회 • 1869 영국 런던 C.O.S. • 1877 미국 버팔로 C.O.S. |
• 개인적인 속성 | • 사회진화론 • 쾌락주의 | • Friendly Visitor • 상류계층, 상류층과 가까이 지내는 사람 |
•기관들의 서비스 조정 | •자선활동의 합리화 | • 사회복지협의회 • 공동모금 |
인보관 활동 | • Settlement Movement • 1884 영국 Toynbee Hall • 1886 미국 뉴욕 Neighborhood Guild • 1888 미국 시카고 Hull House |
• 환경적 요소 (가정,직업,지역사회 등) | •자유주의 • 급진주의 • 실용주의 |
• Resident • 교육받은 중류계층 |
•서비스 제공 | •사회계량 | • 사회개혁 • 사회운동 |
< 활동의 공통점 >
• 빈민급증에 따라 사회조사를 통해 실태를 파악하고 여론을 환기
• 지역사회내의 여러자원을 연락 조정하여 유용하게 활용
• 비교적 혜택을 누리는 계층에서 볼런티어 참가
반응형
'사회복지 > 지역사회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상화의 이념 (0) | 2014.05.15 |
---|---|
지역사회복지의 본질 (0) | 2014.05.15 |
지역사회복지의 목표 (0) | 2014.05.15 |
지역사회복지의 개념 (0) | 2014.05.15 |
지역사회 복지의 개요 (0) | 2014.04.23 |
댓글